현대자동차·기아가 기존 완성차 개발 중심의 중앙 집중 형태에서 독립적 조직들 간의 연합체 방식(ATO, Allianced Tech Organization)으로 연구개발 조직을 개편한다고 12일 밝혔습니다.
차량개발에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부분을 모아 본부급으로 승격, 신차 개발 완성도 제고와 양산 품질 확보 측면을 강화하는 한편, 기존의 연구개발본부 조직 중 차세대 혁신 기술 부문을 재구성해 별도의 담당으로 편성했습니다.
R&D 부문을 총괄하는 CTO(Chief Technology Officer, 최고 기술 경영자) 산하에 네개의 부문이 들어갑니다.
- TVD(Total Vehicle Development)본부 : 차급 단위의 개발을 통해 전기차 포함 경쟁력 있는 신차 개발
기존 연구개발본부의 핵심 역량이었던 차량 개발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제품통합개발담당 등 신차 개발 조직을 모아 본부급으로 격상시켰습니다. 특히 산하에 제네시스개발담당과 다목적 차량 및 소형차 개발을 위한 차량개발1담당, 중대형 차량을 개발하는 차량개발2담당을 조직해 브랜드 단위, 플랫폼 단위의 효율적인 신차 개발이 이뤄지도록 했습니다. - 차량SW담당 : SDV(Software Defined Vehicle)체제 전환을 위해 최고 수준의 SW 경쟁력 확보
기존 전자개발센터와 인포테인먼트개발센터에 더해 자율주행사업부, 차량제어개발센터, 디지털엔지니어링센터를 추가해 소프트웨어 개발의 일관성을 확보하고 한층 더 강력한 개발 체계를 구축했습니다.
앞으로 현대차·기아의 차량에 적용될 전자아키텍처, 통합제어전략 등을 연구하고 실행할 예정이며 특히 본사 SDV 본부 및 포티투닷(42dot)과의 긴밀한 협조체계를 갖춰 그룹의 SDV 전략을 성공적으로 완수한다는 계획입니다. - META(Mobility Engineering & Tech Acceleration)담당 : 차세대 플랫폼 및 기술개발을 통해 혁신 제품 개발 주도
차세대 혁신 제품 개발을 주도하는 조직으로, 전동화, 샤시, 바디 분야 선행 신기술 및 기본 성능 육성 조직을 통합한 것으로 모빌리티기술센터, 차량성능기술센터, 차량아키텍처개발센터, 기초소재연구센터로 구성됩니다.
신설된 모빌리티기술센터는 미래 혁신 신기술 및 새로운 콘셉트 모빌리티를 개발하고 차세대 아키텍처 기술을 확보하는 역할을 맡게 되며, 신설된 차량성능기술센터는 고성능차의 뛰어난 기술을 양산 적용하는 작업과 차량의 기본 성능을 선행적으로 연구하고 향상시키는 업무를 담당합니다.
차량아키텍처개발센터는 기존 대비 아키텍쳐 기반의 개발 기능이 대폭 강화됐는데 개발 원가 부문, 버추얼 개발 부문 등이 센터 내로 편입되었으며 이를 통해 모듈러 아키텍처 개발 체계 계승과 함께 차세대 기술 및 기본 성능이 양산 제품으로 원만히 이어질 수 있는 개발 환경이 조성됐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습니다. - 독립형 개발조직/디자인 : 독립적 연구와 유기적인 협업을 통한 경쟁력 강화
배터리, 로보틱스, 수소연료전지, 상용 등 승용 완성차를 제외한 사업 및 디자인센터의 독립적인 연구개발 체제를 그대로 유지하며 CTO 직속으로 편성했습니다.
이들 담당 및 센터는 독립적으로 각 분야를 연구개발하면서 필요시 타 담당들과 유기적으로 협력해 경쟁력을 강화할 예정입니다.
이번 조직개편과 함께 진행된 인사에서 기존 연구개발본부장이었던 김용화 부사장이 사장으로 승진하며 연구개발조직을 총괄하는 CTO(Chief Technology Officer, 최고기술책임자)에 임명됐으며, 차량SW담당도 겸직합니다. 또한 기존 제품통합개발담당이었던 양희원 부사장이 TVD본부장으로 임명되면서 대규모 조직개편에도 불구하고 연구개발에 차질이 빚어지지 않도록 연속성을 유지했습니다. META담당은 추후 선임될 예정입니다.
차량의 효율적인 개발에 집중했던 기존에 비해 새로 개편된 조직은 전동화·SW·로보틱스 등 모빌리티를 아우르는 다양한 주제로 조직이 확대된 것이라고 하네요. 신속하고 유연한 조직을 구성해 급변하는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 합니다.
이번 개편에서 가장 돋보이는 부분은 역시 소프트웨어 부문이 되겠네요. 대량생산 위주의 제조업으로 성장한 우리나라 대기업들의 약점이 소프트웨어에 대한 인식 부족인데, 현대차·기아는 이번에 확실하게 소프트웨어에 힘을 주는 모양새입니다. 특히 조직 구성도를 보면 가운데에 자리하는 CTO가 짊어지는 책임이 엄청나군요.
참고로 현대차·기아는 2003년 R&D의 통합적 역량 향상을 위해 각 지역에 분산된 연구개발 기능을 모아 통합 조직을 출범했으며, 판매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던 2000년대 중반에는 글로벌 전략차종 등 다양해진 제품 라인업 개발 세분화를 위해 차종, 차급 단위의 플랫폼 기반 조직개편을 단행했습니다.
2012년에는 자동차의 기본 성능과 감성 품질 강화를 목표로 기능 전문화 중심의 조직으로 재편했으며, 2019년에는 아키텍처 기반 시스템 조직 체계를 구축하는 등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끊임없는 연구개발 조직 혁신을 추진해 왔습니다.
(출처 : 현대자동차)
'자동차 회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전세계 730만대 판 현대·기아, 차종별 판매 순위는? (2) | 2024.01.04 |
---|---|
기아에는 서비스 상담원들의 세계대회가 있다? (0) | 2023.06.25 |
기아, BMW와 벤틀리 출신 디자이너 존 버킹햄 영입 (2) | 2023.06.09 |
댓글